결정계수 썸네일형 리스트형 회귀분석 ① - 회귀분석의 기본 가정, 단순회귀분석 *회귀분석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기억하기 위해 작성 - 특히 기본 가정* *본 글에 나오는 사진들은 전공서적들에서 찍은 도표 혹은 그림 부분임* *n년전 한글파일로 작성한 기초통계 요약자료에서 중요 부분만 편집하여 정리함*+*전공서적 내용 정리 포함* 회귀분석 : 한 변수로부터 다른 변수를 예측하기 위해 예측방정식을 구하는 통계방법 -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를 나타내는 선형식을 산출 -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나타내어 예측 및 추론하는 분석 - 독립변수의 개수가 1개 : 단순회귀분석, 독립변수의 개수가 2개 이상 :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의 기본적인 회귀모형 식(단순회귀분석은 선형회귀분석이다) Y = m+aX+e (m=절편, a=회귀계수, 기울기, e=오차) 회귀선 : 산포도에 나타난 점들(즉, 데.. 더보기 기초 통계 ② - 이변량, 산포도, 공분산, 상관계수, 등분산성, 이분산성, 결정계수 *기초 통계 개념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기억하기 위해 작성* *본 글에 나오는 사진들은 전공서적들에서 찍은 도표 혹은 그림 부분임* *n년전 한글파일로 작성한 기초통계 요약자료에서 중요 부분만 편집하여 정리함* *대부분의 값은 통계 프로그램들이 계산하므로 공식은 가급적 제외하여 정리함* 이변량은 두 가지 변수를 동시에 연구할 때의 데이터 값들이라고 한다. 이변량은 한 변수가 변할 때 다른 변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낸다. 즉, 두 변수들이 서로 상관이 있는지, 혹은 같이 변하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해서 사용된다. 이런 이변량 분포를 보여주는 데 가장 유용한 방법은 산포도를 통해서 나타내는 것이다. 산포도는 두 변수가 동시에 변하는 모양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두 변수 사이의 관련 유무를 알려준다. 두 .. 더보기 이전 1 다음